1️⃣ EPS (Earnings Per Share, 주당 순이익)=이피에스
💡 EPS = 당기순이익 ÷ 발행 주식 수
✅ 의미
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1주당 얼마씩 나눠 가질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야.
✅ 예시
예를 들어, A 기업의 연간 순이익이 100억 원이고, 발행된 주식이 10억 주라고 하면:
👉 EPS = 100억 ÷ 10억 = 10원
즉, A 기업의 한 주당 이익은 10원이라는 뜻!
📌 EPS가 높을수록 좋은 회사일까?
일반적으로 EPS가 높으면 회사의 수익성이 좋다고 볼 수 있지만, 발행 주식 수가 많거나 적은지도 함께 고려해야 해.
2️⃣ PER (Price Earnings Ratio, 주가수익비율)=피이알
💡 PER = 주가 ÷ EPS
✅ 의미
PER은 ‘이 주식을 사면 투자금을 몇 년 만에 회수할 수 있는지’를 보여주는 지표야.
✅ 예시
A 기업의 현재 주가가 1,000원이고, EPS(주당순이익)가 10원이라면:
👉 PER = 1,000 ÷ 10 = 100배
이 뜻은?
➡️ A 기업의 주식을 사면 100년 동안 같은 이익을 벌어야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야.
📌 PER이 낮을수록 좋은 회사일까?
- 일반적으로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이라고 해. (싸게 살 수 있다는 뜻!)
- 하지만 무조건 낮다고 좋은 건 아니고, 업종별 평균 PER과 비교하는 게 중요해.
3️⃣ PBR (Price to Book Ratio, 주가순자산비율)=피비알
💡 PBR = 주가 ÷ BPS(주당순자산가치)
💡 BPS(주당순자산가치) = 기업의 순자산 ÷ 발행 주식 수
✅ 의미
PBR은 ‘이 회사가 가진 자산(순자산) 대비 주가가 몇 배로 거래되는지’를 나타내는 지표야.
✅ 예시
A 기업의 순자산이 100억 원이고, 발행 주식 수가 10억 주라면:
👉 BPS = 100억 ÷ 10억 = 10원
A 기업의 주가가 1,000원이라면:
👉 PBR = 1,000 ÷ 10 = 100배
📌 PBR이 낮을수록 좋은 회사일까?
- PBR이 1보다 작으면, 현재 주가가 기업의 자산보다 저평가된 상태라고 볼 수 있어.
- 하지만 PB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고, 성장성이 있는지도 봐야 해
EPS | 당기순이익 ÷ 주식 수 | 주당 얼마를 벌었는지 | 높을수록 좋지만, 전체 주식 수 고려 필요 |
PER | 주가 ÷ EPS | 몇 년 만에 투자금 회수? | 낮을수록 저평가, 업종 평균 비교 필수 |
PBR | 주가 ÷ BPS |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 배? | 1보다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 |
이 세가지 지표를 잘 비교해 보고 주식을 살지 말지 결정해보는 습관을 들여야해!!
주린이들은 복잡한 다른 지표들은 사실 볼 줄 모르고 설명을 들어도 너무 어려우니까!!
이런 간단간 것들을 자꾸 보는 연습을 들여야해!!!!
'주린이를위한 주식기초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스증권 어플 추천! 초보 주린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투자 앱 (0) | 2025.03.06 |
---|---|
주린이의 증권사별 수수료 및 특징 (0) | 2025.03.05 |
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와 최선집행기준 (0) | 2025.03.03 |
입문자를 위한 최우선적 쌩기초 주식용어 5단계_주식매매 (1) | 2025.03.01 |
입문자를 위한 최우선적 쌩기초 주식용어 4단계_주식매매 (0) | 2025.03.01 |